3.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운영체제 (os, Operating System)
os 성능 평가 기준
1. 처리 능력 (Throughout)
2. 반환 시간 (Turn Around Time)
3. 사용 가능도 (Availability)
4. 신뢰도 (Realiability)
컴퓨터 시스템 구성 (계층)
1. 사용자
2. 애플리케이션
3. 유틸리티
4. 운영체제
5. 하드웨어
운영체제 구성
1. 제어 프로그램
(1) 감시 프로그램
(2) 작업 관리 프로그램
(3) 데이터 관리 프로그렘
2. 처리 프로그램
(1) 언어 번역 프로그램
(2) 서비스 프로그램
유틸리티
스케줄링 (Scheduling)
PnP (Plug and Play, 자동 감지 기능)
다중 사용자 (Multi-User)
다중 작업 (Multi-Tasking)
포그라운드 작업
백그라운드 작업
UNIX 시스템 구성 (계층)
1. 사용자
2. 유틸리티
3. 쉘
4. 커널
5. 하드웨어
파이프라인
IPC (Inter Process Communication)
시스템 호출
커널 (Kernel)
쉘 (Shell)
주기억장치 관리 전략
1. Fetch
2. Placement
3. Replacement
기억장치 좋은 순서
1. 레지스터
2. 캐시
3. 주기억장치
4. 보조기억장치
단편화
1. 내부 단편화
2. 외부 단편화
가상 기억 장치
1. 페이징 기법
2. 세그멘테이션 기법
블록
주소 변환 (주소 사상, 주소 매핑, Mapping)
페이징 기법 (Paging)
페이지 (Page)
페이지 프레임 (Page Frame)
페이지 맵 테이블 (Page Nop Table)
동적 주소 변환 기법 (DAT)
세그멘테이션 기법 (Segmentation)
세그먼트 (Segment)
세그먼트 맵 테이블 (Segment Map Table)
기억 장치 보조키 (Storage Protection Key)
가상 주소 형식
실기억 주소
세그머트 주소 변환 순서
페이지 부재 (Page Fault)
LRU (Least Recently Used)
LFU (Least Frequently Used)
LUR (Not Used Recently)
1. 참조 비트 (Reference Bit)
2. 변형 비트 (Modified Bit)
페이지 크기가 작은 경우
페이지 크기가 큰 경우
Locaility (지역성)
시간 지역성 (Temporal Locality)
공간 지역성 (Spatial Locality)
워킹 셋 (Working Set)
프리페이징 (Prepaging)
스레싱 (Thrashing)
프로세스 (Process, 작업, Job, 태스크, Task)
프로시저
비동기적 행위
부모 프로세스
PCB (Process Control Block, 프로세스 제어 블록, Task Control Block, Job Control Block)
1. 상태
2. 포인터
3. 고유 식별자
4. 우선순위
5. 레지스터 정보
6. 주기억장치 관리 정보
7. 입출력 상태 정보
8. 계정 정보
기준 레지스터 (Base Register)
프로세스 상태 (State)
1. 제출 (Submit)
2. 접수 (Hold)
3. 준비 (Ready)
4. 실행 (Run)
5. 대기 (Wait, 보류, 블록, Block)
6. 종료 (Terminated, Exit)
프로세스 상태 전이
1. Dispatch
2. Wake up
3. Spooling
4. 교통량 제어기 (Traffic Control)
준비상태 큐
스레드 (Thread)
1. 단일 스레드
2. 다중 스레드
3. 사용자 수준 스레드
4. 커널 수준의 스레드 (커널 스레드)
문맥 교환 (context switching)
스케줄링 (Scheduling)
1. 장기 스케줄링 (작업 스케줄링, Job Scheduling, 상위 스케줄링)
2. 중기 스케줄링
3. 단기 스케줄링
문맥 교환 (Context Switching)
프로세스 스케줄링 기법
1. 비선점형 스케줄링 (Non-Preemptive, Non-Preemption)
2. 선점형 스케줄링 (Preemptive)
인터럽트용 타이머 클록
FCFS (First Come First Service)
대기 시간
반환 시간
실행시간, 대기시간, 반환시간의 평균
SJF (Shortest Job First)
HRN (Hightest Respose-ration Next)
우선순위 계산 공식
환경 변수 (Enviornment Variable)
1. 시스템 환경 변수
2. 사용자 환경 변수
(1) 내부 환경 변수
(2) 외부 환경 변수
모든 환경 변수와 값 표시
1. Windows에서
2. UNIX와 LINUX에서
명령 프롬프트 창 실행법
1. 윈도우 + R
2. cmd
3. 명령 프롬프트
Windows 기본 명령어
1. TYPE
2. CD
3. ATTRIBUTE
4. FORMAT
UNIX/LINUX 기본 명령어
1. uname
2. chdir
3. chmod
인터넷
백본 (Backnone)
IP 주소 (Internet Protocal Address)
1. A 클래스
2. B 클래스
3. C 클래스
4. D 클래스
5. E 클래스
서브네팅 (Subneting)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IPv6 (Internet Protocal version 6)
트래픽 클래스 (Traffic Class)
플로우 레이블 (Flow Label)
헤더 (Header)
IPv4 -> IPv6 전환 전략
1. 듀얼 스택 (Duel Stack)
2. 터널링 (Turneling)
3. IPv4/IPv6 변환
IPv6 구성
IPv6 주소 체계
1. 유니캐스트 (Unicast)
2. 멀티캐스트 (Multicast)
3. 애니캐스트 (Anycast)
도메인 네임 (Domain Name)
1. 호스트 컴퓨터 이름 (상위 도메인)
2. 소속 기관 이름
3. 소속 기관 종류
4. 소속 국가
DNS (Domain Name System)
DNS 서버
IPv6의 주소 자동 설정
IPv4
OSI 참조 모델 (Open System Interconnection)
1. 물리 계층
2. 데이터 링크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전송 계층 계층
5. 세션 계층
6. 표현 계층
7. 응용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1. 비트
2. 프레임
3. 패킷
4. 세그먼트
5.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 단위 (SDU, Service Data Unit)
서비스 접근점 (SAP)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1. 흐름 제어
2. 프레임 동기화
3. 오류 제어
4. 순서 제어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QoS
세션 (Session)
세션 계층 (Session Layer)
동기점 (Synchronization Point)
1. 소동기점 (Minor Synchronization Point)
2. 대동기점 (Major Synchronization Point)
ACK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응용 계층 (Applicatioin Layer)
OSI 7계층 요약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NIC, Network Interface Card, 이더넷 카드, LAN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허브 (Hub)
1. 더미 허브 (Dummy Hub)
2. 스위칭 허브 (Switching Hub)
리피터 (Repeater)
브리지 (Bridge)
스위치 (Switch)
라우터 (Router)
브라우터 (Brouter)
게이트웨이 (Gateway)
전처리기 (FEP, Front End Processor)
인터 네트워크 장비 요약
증폭기 (Amplifier)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1. TCP
2. IP
연결형 통신 (접속)
비연결형 통신 (비접속)
Best Effort
TCP/IP 구조
1. 응용 계층
2. 전송 계층
3. 인터넷 계층
4.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TCP
UDP
RTCP (Real Time Transport)
IP의 비신뢰성
IP 프로토콜
TCP 헤더
1. 순서 번호 (Sequence Number)
2. 순서 번호 확인 (Acknowledgement Number)
3. 체크섬 (CheckSum)
MQTT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Message Conterol Protocol)
TCP/IP 구조 요약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주소 분석 프로토콜)
RARP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